카테고리 없음

생활비 절약방법 :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사용방법, 주의점

버니무니 2023. 3. 14. 11:28

생활비 절약방법 :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사용법, 주의점 등

앞서 포스팅 했던 것처럼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은 사용이 편리하고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 현재 10%할인된 금액으로 구입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현재 주 장보기 수단으로 활용 중이다. 이번에는 직접 사용해보고 작성하는 어플을 통한 사용처 확인방법과 사용방법, 사용시 주의할 점을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직접 사용 후 도움이 될만한 꿀팁도 곁들여져 있으니 활용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온누리상품권 (onnurilanding.co.kr)

사용처 확인방법

1. 내주변 가맹점 확인하기

온누리상품권 앱에 들어가면 가운데쯤에 가맹점 찾기라는 메뉴가 있다. 이 메뉴로 들어가면 '내주변'으로 메뉴가 지정되어있다. (앱 설정 > 위치설정 켜기) 현재 내 위치에서 가까운 가맹점이 나오고, 하단에 '지도로 보기'를 클릭하면 지도 상 각 가맹점 위치도 확인이 가능하다.

 

2. 매장명으로 검색하기

내가 원하는 매장이 가맹점으로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하려면 상단 우측 돋보기 모양을 클릭해서 매장명을 직접 검색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통시장 내부 매장의 경우에는 이름을 확실하게 모르고 있는 경우도 많아서 나같은 경우에는 '내주변' 메뉴를 통해 근거리 전통시장에 있는 매장 중 어떤 곳이 가맹점인지 확인하고 이용하는 편이 더욱 편리했다.

 

3. 지역별 가맹점 찾기

지역별 찾기를 통해서 들어가면 서울, 부산, 대구 등 지역 내 구와 동을 설정해 해당 지역의 가맹점 목록을 볼 수 있다. 내가 살고 있는 동 내에 가맹점이 어떤 곳이 있는지 한눈에 파악 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4. 시장별 가맹점 찾기

만약 타 지역의 특정 시장에 방문할 예정이라면 해당 시장 내에 어떤 매장이 가맹점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미리 확인해 볼 수 있어서 편리하다. 예를 들어 부산에 여행을 가서 부산의 대표 시장인 자갈치시장에 방문하게 되었다고 하자. 시장별 찾기로 들어가서 부산 > 중구로 들어간다. (부산 자갈치시장은 부산 중구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면 중구 내 시장 목록 중 자갈치 시장이 나오고, 규모가 큰 시장이기 때문에 등록된 가맹점 수도 많은편, 현재 기준 182개의 매장이 등록되어있다는 점을 확인 가능하다. 

 

5. 카테고리별 분류를 통한 확인하기

위의 방법으로 가맹점 목록을 보게 되면 상단에 카테고리 별 분류가 되어있다. 카테고리는 <전체,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가공식품, 의류 및 신발, 가정용품, 음식점업 ,기타소매업, 근린상권서비스>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원하는 카테고리를 누르면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매장만 따로 볼 수 있다.

 

 

사용방법

1. 온누리상품권 앱을 설치한다.

2. 회원 가입 후 , 출금계좌를 설정해서 카드형온누리상품권 충전시 어디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가게 할건지 정해야 한다.

3. 카드등록을 한다. 본인이 갖고 있는 카드 중에서 어떤 카드로 결제했을때 충전된 금액으로 결제되게 할건지 정하면 된다. 카드는 최대 10개까지 등록가능하고 충전된 금액은 등록한 카드 중 어떤 카드로 결제하는 전체 금액에서 빠져나간다.

4. 충전 탭에 들어가서 원하는 금액을 충전한다. 충전 금액을 입력하면 하단에 할인 후 총결제금액이 표시된다.

 

카드등록 추가 꿀 Tip : 내가 5개의 카드를 등록하고 10만원을 충전했을때, 등록된 카드 중 어떤 카드로 결제하든 충전된 10만원에서 결제된다는 것이다. 즉 한 사람이 등록한 카드가 여러 장이라고 하더라도 각 카드별로 금액을 나누어서 충전하는것은 불가하다. 가족이 공동으로 생활비를 사용하고, 충전한 금액을 공동으로 쓰고 싶다면 카드를 2개이상 등록해서 1인 1카드를 소지하고 결제하여 충전 금액을 사용하는것도 방법이다. (다만 카드는 원래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빌려주는거 자체가 불가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당연히 가족끼리만 사용해야 하는 것 아시죠?)

 

<카드형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하려면 먼저 다운받아야하는 어플>

온누리상품권 - Google Play 앱

 

온누리상품권 - Google Play 앱

온누리상품권은 앱을 통해 편리하게 온누리상품권을 충전하고 등록한 카드를 통해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play.google.com

App Store에서 제공하는 온누리상품권 (apple.com)

 

‎온누리상품권

‎온누리상품권은 앱을 통해 편리하게 온누리상품권을 충전하고 등록한 카드를 통해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 일반 사용자 : 앱을 통한 온누리상품권 금액을 충전하고, 본인 명의의 카드

apps.apple.com

 

 

사용시 주의할 점

1. 가맹점을 반드시 확인해야한다.

온누리상품권이라고 해서 모든 전통시장 내 매장에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지류 온누리 상품권의 경우에는 시장 안에 있는 소매점이라면 가맹점 등록이 안되어 있더라도 인정상 온누리상품권을 받아주는 매장이 종종 있었다. 또 시장 내부는 아니라도 아파트 상가가 크고 약간 시장처럼 형성되어있는 동네에도 가맹점은 아니지만 온누리상품권을 받아는주는 경우도 있었다. 또는 시장은 아니지만 동네정육점이나 일부 식당이나 소매점도 온누리 상품권을 받아주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 매장들은 모두 카드형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가 가능하지 않다. 반드시 가맹점으로 등록되어있는 매장에서만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가 되어 차감이 되고, 가맹점이 아니라면 일반 카드결제로 결제가 된다. 신용카드로 결제했다면 신용카드 대금에 부과되고, 체크카드로 결제했다면 본인 계좌에서 지출되는 셈이다. 때문에 어플에 있는 가맹점 찾기를 통해서 가맹점 등록여부를 확인한 후에 결제하는 것이 안전하다.

 

2. 가맹점의 현재 영업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가맹점 찾기에서 조회되는 매장이라고 하더라도 이미 영업종료, 즉 문을 닫은 가게도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지금은 없어진 가게인데도 아직 가맹점 찾기에서 조회되는 매장도 있다. 우리 동네에 있는 곳이라면 없어졌다는 사실을 아니까 괜찮지만, 자주 가는 지역이 아닌 곳의 가맹점을 이용할 예정이라면 영업 여부를 확인하는게 좋겠다.

 

3. 추가 꿀 Tip :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확실하게 확인하는 방법

나 같은 경우에는 최초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결제시에 가맹점찾기에 나오는 매장이라고 하더라도 진짜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될지 확신이 없었다. 그때 내가 사용한 방법은 등록카드로 체크카드를 이용하고 해당 체크카드가 연결된 계좌 금액을 0원으로 만드는법이었다. 이렇게 하면 체크카드로 결제될 경우 빠져나갈 금액이 없기 때문에 승인이 안될테고,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이라면 충전된 금액에서 빠져나갈테니 승인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정 불안하면 이 방법을 사용해서 해당 가맹점이 온누리 상품권 결제가 실제 되는 곳인지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다만 체크카드의 경우에도 계좌잔고가 없어도 일부 신용카드처럼 결제해주는 서비스가 있어서 이런 서비스에 가입된 체크카드라면 확인이 불가하다.